반응형 리눅스3 Linux에서 .sql 파일을 실행하는 방법(MySQL) 리눅스에서 .sql 파일을 실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 예제) 리눅스에서 `./work_space/example/create_db.sql` 경로의 sql 파일을 실행 1. MySQL 접속 후 패스워드 입력 # mysql -u -p mysql -u john -p 2. source + .sql 파일 경로 입력 # source source ./work_space/schema/create_table.sql 2023. 11. 7. 도커(docker)란 무엇인가? - 도커 개념 및 기초 도커는 컨테이너화 기술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, 배초 및 실행하기 위한 오픈소스 플랫폼이다. 애플리케이션과 실행 환경을 컨테이너 단위로 패키징하여 격리 후 일관되고 효율적인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다. 쉽게 말해서 같은 컴퓨터 내에서 독립적으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. VM(Virtual Machine)과 같은건가? 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. 도커 컨테이너와 VM은 모두 이미지로 생성된다. 도커는 애플리케이션 환경의 백업을 생성하고, VM은 OS 백업을 생성한다. 또한 가상화 기술을 사용한다는 것에 대해 유사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주요한 차이점은 가상화 방식이다. VM은 하이퍼바이저를 사용하여 하드웨어를 시뮬레이션하고, VM마다 별도의 OS 인스턴스(Guest OS)를 실행한다. 도커는 호스트 OS.. 2023. 8. 10. 리눅스(Linux) 크론(Cron), 크론탭(crontab) 설치 방법, 사용 방법 - Ubuntu, CentOS 크론이 뭔가요? 크론은 설정한 시간, 날짜, 간격에 따라 작업을 주기적으로 실행하는 스케줄러이다. 크론을 사용함으로 써 주기적으로 반복하던 일을 자동화 할 수 있다. Cron 설치 방법 CentOS # cron 설치 sudo yum update -y sudo yum install -y cronie # cron 시작 sudo systemctl start crond # cron systemctl 활성화 sudo systemctl enable crond # cron systemctl 등록 확인 sudo systemctl list-unit-files | grep crond Ubuntu # cron 설치 sudo apt update -y sudo apt install -y cron # cron 시작 sudo se.. 2022. 12. 5. 이전 1 다음 반응형